Skip to main content
온라인 브랜딩 전략

마케팅·세일즈·브랜딩 차이, 한번에 이해하는 완벽 가이드

By 8월 14th, 2025No Comments
마케팅·세일즈·브랜딩 차이, 한번에 이해하는 완벽 가이드 썸네일

많은 분들이 마케팅(Marketing)과 세일즈(Sales)를 헷갈립니다. 여기에 브랜딩(Branding)까지 들어오면 더 혼란스러워집니다. 세 개념 모두 판매와 관련이 있지만, 하는 일·목표·시점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쿠키 가게와 여행 비유를 통해, 마케팅·세일즈·브랜딩 차이를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합니다.

마케팅·세일즈·브랜딩 뜻

  • 브랜딩(Branding): 사람들에게 “이 브랜드는 ○○한 곳”이라는 이미지와 인식을 심어주는 활동
  • 마케팅(Marketing): 사람들을 내 상품·서비스 앞까지 데려오는 활동

  • 세일즈(Sales): 내 상품 앞에 선 사람을 실제로 구매하게 만드는 활동

 

🍪 쿠키 가게로 이해하기

마케팅은 SNS 사진, 시식 행사, 쿠폰 배포로 손님을 가게 앞까지 데려오는 것.
세일즈는 가게 안에서 “오늘만 세트 20% 할인” 같은 제안으로 결제까지 이끄는 것.
브랜딩은 “이 가게는 정성이 느껴지는 수제 쿠키집”이라는 이미지를 만드는 것.

즉,

  • 브랜딩: 기억에 남는 ‘인상’ 만들기
  • 마케팅: 발걸음을 옮기게 만들기

  • 세일즈: 구매 행동을 하게 만들기

 

🛒 판매 과정 속 위치

판매를 5단계로 나누면 세 개념의 위치가 명확해집니다.

  1. 인지(Attention) – 브랜드 존재를 알림 → 브랜딩+마케팅

  2. 흥미(Interest) – 관심을 갖게 함 → 브랜딩+마케팅

  3. 욕구(Desire) – “나도 갖고 싶다”는 마음 생성 → 브랜딩+마케팅

  4. 행동(Action) – 구매 결정을 유도 → 세일즈

  5. 재구매·추천 – 다시 사고 추천하게 함 → 브랜딩+세일즈 혼합

 

🚗 여행에 비유하면

  • 브랜딩: ‘이 여행사는 안전하고 특별한 여행을 만든다’는 이미지를 형성
  • 마케팅: 여행 사진, 광고, 후기 공유로 가고 싶은 마음을 유도

  • 세일즈: 상담에서 일정·가격 설명 후 결제까지 안내

 

🔍 왜 셋 다 필요할까?

  • 브랜딩만 하는 경우: 좋은 이미지는 있지만, 실제 유입과 판매가 약함
  • 마케팅만 하는 경우: 유입은 있으나 브랜드 정체성이 없으면 이탈률이 높음

  • 세일즈만 하는 경우: 설득은 가능하지만, 올 사람과 믿음이 없음

세 개념은 ‘신뢰→관심→구매’의 흐름을 완성하는 세 축입니다.

 

결론

  • 브랜딩은 ‘기억 속 이미지’

  • 마케팅은 ‘관심을 끄는 힘’

  • 세일즈는 ‘구매를 이끄는 힘’

브랜딩은 ‘기억 속 이미지’로서, 마케팅과 세일즈가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출발점입니다. 마케팅은 ‘관심을 끄는 힘’으로 고객을 데려오고, 세일즈는 ‘구매를 이끄는 힘’으로 행동을 완성합니다.

셋을 브랜딩 → 마케팅 → 세일즈의 순서로 연결해 운영해야 장기적인 판매와 충성 고객이 생깁니다. 결국, 신뢰를 만드는 브랜딩이 먼저 자리 잡아야 마케팅이 힘을 받고, 세일즈가 효과를 발휘하며, 브랜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